[경제적자유] 투자는 아무나 하나?

2025. 2. 16. 16:48여행자의 삶

728x90

내가 잘 하는 것보다 못 하는 것을 찾는 게 더 쉬운 일이다. 운동도 못 하고, 연애도 못 하고... 운동이나 연애는 뭔가 타고난 게 영향을 주니까 그렇다 치자. 하지만 가장 안타까운 것은 '투자'에 잼병이라는 것이다. 

 

나는 2007년 11월부터 직장생활을 했다. 그동안 이직을 한다고, 사업을 해보겠다고... 한 달에 수입이 0원인 적도 있었고 최저임금 수준의 월급을 받은 적도 있었다. 그래도 조금씩 저축은 할 수 있는 정도였던 것 같다. 그런데 이 저축이 문제였다. 뭔가 '마이너스의 손'이랄까?

 

처음 주식투자를 시작한 것은 아마 2009년쯤이었던 것 같다. 은행에 가서 주식투자를 할 수 있는 위탁계좌(?) 같은 것을 만들어서, 미래에셋증권에 투자를 했다. 첫사랑은 잊기 어렵다고 했는데, 나는 내가 처음 샀던 주식이 뭔지도 기억이 안 난다. 분명 성과가 없었으리라. 기억나는 것은 가전으로 유명한 기업의 주식을 샀다가,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보고 놀라서 매도하다가 실수로 더 큰 손실을 봤던 것이다. 뭐 어찌됐든, 내 잘못이었고 금액이 크지 않아서 다행이었다. 하지만 그래도 학교에서 깡패에게 삥뜯긴 듯 기분이 나쁘긴했다. 

 

속상한 날에는 걷는 게 최고이고, 걷다보면 자연이 나를 토닥거려줄 때가 있다

 

이후에도 나는 정신을 못 차렸다. 당시 내가 다디던 직장은 너무 바빠서, 나는 월급으로 주식을 많이 샀다. 뭔가 공부도 없이, 그냥 유명한 회사니까 샀다가 팔기를 반복했던 것 같다. 그러다 2011년에 일본에서 큰 난리가 있었고, 재건과 관련해 중공업 계열사 및 한 자동차 기업의 주식을 샀다. 근거 없는 추측으로 샀다. 중공업 계열사는 금방 팔았지만, 자동차 기업 주가는 나날이 떨어졌다. 당시 나는 손절을 몰랐고, 물타기만 했다. 월급을 타면, 00차 물타기... 

 

아마 그 주식은 거의 7~8년 이상 나의 증권 계좌에 있었다. 가치투자를 한 것도 아니고... 나는 본전에서 약간의 수익이 났을 때 그 주식을 팔았다. 내 투자인생에서 정말 바보같은 짓이었다. 거의 100%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주식을, 3~4% 수익(보유기간 돈이 묶인 걸 생각하면 사실상 손실)에 팔아버렸으니. 지금 그 자동차 기업은 꽤 잘 나간다. 배가 아프다. 그래서 나는 길에서 그 회사의 차만 봐도, 속이 쓰려온다. 

 

천천히... 말아먹은 나의 주식투자

 

그런 일을 겪고도 나는 달라지지 않았다. 이번에는 한 사모펀드가 대주주가 된 소비재 기업의 주식을 샀다. 대주주 사모펀드가 앞서 다른 회사에서 좋은 성과를 냈으니, 이번에도 잘 하리라는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이 주식은 코로나 직전부터 곤두박질을 치더니, 결국 최근에 상장폐지를 했다. 내게는 소액이 아니지만, 그들에게는 나는 소액주주다. 그 사모펀드는 자신들의 원금 회수를 위해, 나같은 소액주주를 버리고 '상장폐지와 포괄적 주식교환'을 했다. 들리는 얘기로는 이제 배당을 실시해, 원금을 회수하려 한단다. 몇 년을 기다려준 우리를 버리고, 자신들의 본전만 찾으려 하다니... 그래서 나는 나같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소송에 이름을 올렸다. '우리의 주식 가치를 정당하게 계산해달라!'는 소송이다. 아직 소송의 결과는 안 나왔지만, 이미 나의 주식투자는 분명 실패한 것이다. 

 

쓰라린 경험이 있으니, 이제 투자의 ㅌ도 쳐다보지 않게 됐을까? 아니다. 개가 똥을 어찌 참겠는가? 더구나 나는 언제 수입이 끊길지 모르는 처지다. 그래도 올해부터는 좀 더 공부를 하고 안정적인 투자를 해보기 시작했다. 일반 투자가 아닌, 연금투자다. 연금계좌로 미국증시에 투자하는 ETF에 투자를 시작했다. S&P500, 나스닥100, 고배당주를 나름의 계획을 세워 비율을 정했다. 그리고 매달 적립식으로 투자할 계획을 세웠다. 

올해 1월 나의 투자금액

 

하지만 얼마전 국내증권사가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ETF 관련 논란이 일었다. 복잡한데 과세이연 효과가 사라지고 이중과세 위험이 생겼다는 것이다. 아... 왜 나의 투자는 이렇게 꼬일까? 꽈배긴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