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뉴스읽기_고령화 사회

2025. 3. 4. 14:44여행자의 삶

728x90

나는 1인가구다. 결혼도 하지 않았고, 자식도 없다. 현시점으로 만 46세하고 약 1개월의 나이. 이런 내게 가장 걱정이 되는 것은 노후다. '내가 나이가 더 들어서 몸이 많이 아프면 어떡하지?', '육체적으로만이 아니라, 정신적으로 쇠약해지면 어떡하지?', '국민연금이 고갈될 수 있다는데, 노후에는 어떻게 먹고 살지?' 등등 생각하면 머리 아프다. 

 

되돌아보면 볼수록, 건강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된다. 그런데 이 사진 5등신인가? ㅠㅠ

 

오늘 조선일보에서 '서울 거주 노인 24% “고독사 공포 느낀다”... 노후 최대 걱정은'이라는 기사를 봤다. "서울시복지재단의 ‘2024년 노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노인의 23.9%는 평소 고독사 위험을 느낀다고 답했다. 4명 중 1명꼴이다. 서울에 사는 노인 30.7% 혼자 살고 있는데, 혼자 사는 노인은 고독사 위험을 느낀다는 비율이 64.5% 높았다."고 한다. 나는 가끔 잠을 자기 전에, 내가 깨어나지 못하는 상황을 상상하곤 한다. 그럼 과연 누가 날 발견해서 치워줄까? 그 때까지 얼마나 걸릴까? 과연 형체는 알아 볼 수 있을까? 등등을 생각하면서, 잠자리에 들기 전 방을 좀 깔끔히 치우고 옷차림도 매만지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비슷하지 않을까? 죽는 것보다, 죽고 난 후 비참하게 썩어가는 게 더 두렵지 않을까? 물론 그때 우리 모두는 그것을 인지하거나 느끼지 못할 것 같지만.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화'사회다. 인구 5명 중 1명의 연령이 65세 이상이라는 뜻이다.

행정안전부 자료

 

인구중 노년 인구 비율이 높으면 생기는 대표적 현상 중 하나가 건강보험 지출이 늘어나는 것이다. '고령화 韓, 건보 약품비로 年26조 지출'(한국경제) 기사를 보자.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14조986억원이던 건강보험 약품비는 2023년 26조1966억원으로 8년간 85.8% 늘었다. 특히 2023년 증가율은 전년 대비 14.4%로 같은 기간 전체 진료비 증가율(4.7%)의 세 배를 웃돌았다. 한국의 2020년도 경상의료비(보건의료 서비스 및 재화 소비에 국민이 지출한 총액) 중 약제비(의약품 및 기타 의료 소모품비 지출 비용) 비율은 19.9%로 OECD 평균(15.1%)을 웃돌았다. 인구 고령화가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2023년 기준 연령대별 약품비 비중은 60대 환자가 25.2%로 가장 높았고 70대(19.7%), 50대(16.9%), 80대(11.7%) 순이었다." 의료비도 아니고, 약품비도 이렇게 늘어나는데... 나이가 들수록 건강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늘.. 아무리 귀찮아도, 러닝하러 나가야지.

 

예전 조사 같은데... 나이가 들 수록 교제 활동 시간이 짧아진다는 통계가 안타깝다

 

더구나 현재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많이 안좋다. 중앙일보 '韓성장률 4분기 연속 바닥…외환위기 때도 없던 일 닥쳤다' 기사를 보면, 현재 우리나라 경제가 굉장히 침체되어 있다는 우려를 읽을 수 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 1분기까지 네 분기 연속 0.2%(전기 대비) 이하를 기록할 전망이다. 1960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 GDP 48% 차지하는 민간소비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올해 2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1017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감소했다. 주력인 반도체 부진이 컸다. 2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하며 16개월 만에 증가세가 꺾였다. 15 수출 주력 품목 11 품목에서 수출액이 쪼그라들었다. 수출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 달한다." 

 

어떤 묘수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까? 젊은 세대가 많아지게 하는 것, 노년층이 건강하고 안정된 삶을 살게 하는 것, 세대 갈등을 조화롭게 풀어내는 것 등이 필요할 텐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728x90